본문 바로가기
명언

고사성어(사자성어) 뜻과 유래

by funs11 2023. 6. 13.
728x90
반응형
SMALL

사자성어는 우리에게 삶의 지혜를 가르쳐줍니다. 

형설지공
"반딧불과 눈빛으로 공부하여 이룬 공"을 뜻하는 말입니다. 
이 말은 진나라 차윤이라는 소년에서부터 입니다. 차윤은 성실하고 똑똑한 사람이었고 공부를 하고자 했습니다. 집이 너무 가난한 탓에 살림에 보탬이 되고자 낮에는 일을 하였으니 공부할 시간은 밤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나 집이 너무 가난하여 등불조차 쉽게 켤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차윤은 반딧불을 잡아서 등대를 비추게 하여 공부를 했습니다. 그리고 그의 노력으로 성공하게 되었습니다.

동분서주
"동쪽과 서쪽을 오가며 바쁘게 움직이다"를 뜻하는 말입니다. '동분'은 동쪽을 향해 달리다, '서주'는 서쪽을 향해 달리다는 뜻의 한자어로, 두 단어를 합쳐서 만든 사자성어입니다.
이말은 중국의 고전 '사기'에 나옵니다. 춘추시대의 제나라의 재상이었던 관중은 제나라를 강대국으로 만들기 위해 동분서주하며 노력했습니다. 그는 제나라의 정치, 경제, 군사 등 모든 분야를 개혁하고, 제나라를 주변국으로부터 위협받지 않는 강대국으로 만들었습니다.
관중의 일화에서 유래된 동분서주의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이 사용되는 사자성어입니다. 동분서주하는 사람은 종종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을 가리킵니다.

좌고우면
"왼쪽을 돌아보고 오른쪽을 곁눈질하는" 것을 말합니다. 어떤 일에 대해 우유부단하게 망설이는 태도를 비유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이말은 조식이 오질에게 보낸 편지에서 유래된 고사성어입니다. 원래는 좌우를 살펴보며 자신만만한 모습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었으나, 후세에는 이리저리 살피는 모습 혹은 어떤 일에 대해 지나치게 생각해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우유부단하게 망설이는 태도를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쓰이게 되었습니다.

우공이산
"어리석은 노인이 산을 옮긴다"라는 뜻으로 "열심히 노력하면 결국은 이룰 수 있다"는 속뜻을 가진 말입니다. 이 말의 중국의 고전 '열자의 탕문편’에 나오는 이야기로 '우공’이라는 90세의 노인이 살았습니다. 그의 집 앞에는 태행산과 왕옥산이 가로막고 있어 생활하는 데에 있어 불편을 겪어왔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우공은 아들과 함께 산을 옮기기로 결심합니다. 그리하여 우공과 아들은 매일매일 산돌을 바구니에 담아서 옮기기 시작하여 결국 30년이 지나서야 목표를 이루게 됩니다. 

노마지지
"늙은 말의 지혜"라는 뜻의 말입니다. 이 말은 중국의 사상가 한비자의 저서 《한비자》에서 유래했습니다.
한비자는 책에서 "관중의 총명과 습붕의 지혜로도 모르는 것은 늙은 말과 개미를 스승으로 삼아 배웠다. 그러나 그것을 수치로 여기지 않았다. 그런데 오늘날 사람들은 자신이 어리석음에도 성현의 지혜를 스승으로 삼아 배우려 하지 않는다. 이것은 잘못된 일이 아닌가."라고 말했습니다.
한비자는 이 말에서 나이가 많다고 무시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늙은 말은 오랜 경험을 통해 많은 지혜를 얻게 되는데, 우리는 이러한 지혜를 배우고 익혀야 한다는 것입니다.
오늘날에도 경험이 중요하다는 것을 가르쳐주는 말로 자주 사용됩니다. 우리는 경험이 많은 사람들에게서 배우고 익혀야 하며, 나이가 많다고 무시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고사성어는 우리에게 삶의 지혜와 교훈을 가르쳐줍니다. 그 속에는 수많은 인생의 경험과 지혜가 담겨 있습니다. 고사성어를 통해 우리는 삶의 다양한 모습과 가치관을 배우고, 올바른 삶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