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매의 시력과 매사냥

funs11 2023. 7. 26. 11:58
728x90
반응형
SMALL

매는 약 6,000만 년 전에 지구상에 나타났습니다. 매는 세계 전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약 300여 종이 있습니다. 
매는 크기, 색깔, 먹이, 서식지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매는 날렵한 몸매와 강한 발톱과 부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로 새, 설치류, 곤충 등을 먹습니다.

매는 시력이 가장 좋은 동물중 하나입니다.
매의 시력은 사람의 시력보다 약 4~8배 정도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뛰어난 시력을 사용하여 공중에서 아주 작은 동물들까지도 볼 수 있습니다.
매는 높은 곳에서 날아다니다가 먹이를 발견하면 급강하하여 발톱으로 잡습니다. 매의 발톱은 매우 날카롭고 강력하여 먹이를 쉽게 잡을 수 있습니다. 매는 먹이를 잡은 후 날개로 땅에 내려와 먹이를 먹습니다. 
매의 시력은 매가 사냥을 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망막의 중심부에 눈의 중심 시력을 담당하는 부위를 '황반'이라고 하는데 매의 황반은 사람의 황반보다 10배나 더 크며, 시세포의 개수도 10배나 더 많습니다. 이 때문에 매는 사람보다 훨씬 더 뛰어난 시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매의 황반은 빛을 모으는 역할을 하며, 시력을 더 좋게 합니다. 황반에는 '로돕신'이라는 물질이 있는데, 로돕신은 빛을 감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로돕신이 빛을 감지하면 시세포가 신호를 보내고, 이 신호는 뇌로 전달되어 이미지로 인식됩니다.
매의 황반은 빛을 모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매는 밤에도 잘 볼 수 있습니다. 매의 눈은 사람의 눈보다 10배나 더 많은 로돕신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매는 밤에도 빛을 잘 감지할 수 있으며, 멀리 떨어진 곳에서 먹이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사람의 망막이 매의 망막보다 작고 시세포의 개수가 적은 이유는, 사람이 매와 같은 방식으로 사냥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매와 같이 날아다니면서 먹이를 찾지 않고, 땅에서 먹이를 찾습니다. 따라서 사람의 눈은 멀리 있는 물체를 잘 볼 필요가 없으며, 가까이 있는 물체를 잘 볼 수 있는 눈이 필요합니다.

사람의 눈은 가까이 있는 물체를 잘 볼 수 있는 눈이기 때문에, 망막이 매의 망막보다 굴곡이 심합니다. 
매의 눈은 멀리 있는 물체를 잘 볼 수 있는 눈이기 때문에, 망막이 사람의 망막보다 굴곡이 덜합니다. 
따라서, 사람의 눈은 매의 눈보다 시력이 떨어지지만, 가까이 있는 물체를 잘 볼 수 있습니다. 
반면, 매의 눈은 사람의 눈보다 시력이 뛰어나지만, 멀리 있는 물체를 잘 볼 수 없습니다.

이런것을 이용한 것중의 하나가 매를 이용한 매사냥입니다.
매 사냥은 고대부터 행해져 왔습니다. 가장 오래된 매 사냥 기록은 기원전 3000년경의 메소포타미아에서 발견되었으며 
고대 이집트, 중국, 인도, 페르시아, 아랍 등에서 행해졌습니다.
매 사냥은 중세 유럽에서도 인기 있는 사냥 방법이었습니다. 중세 유럽의 기사들은 매를 사용하여 사냥을 즐겼습니다. 
매 사냥은 귀족의 전유물로 여겨졌습니다.
매 사냥은 오늘날에도 일부 지역에서 행해지고 있습니다. 중동,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시베리아 등에서 매 사냥이 행해지고 있습니다. 
매 사냥은 전통적인 사냥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매는 일반적으로 무리를 지어 살지 않습니다. 
하지만, 번식이나, 먹이를 찾기 위해, 위험을 피하기 위해 무리를 지어 둥지를 짓는 경우도 있습니다.

매는 아름다운 동물입니다. 매의 날개는 매우 멋있고, 매의 눈은 매우 신비롭습니다. 매는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동물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